“하루가 멀다”하고 대출사기에 대한 내용이 언론에 터져나오고 있는데요..다른
금융상품과는 달리 빚이란 것이 빌려주는 자(금융기관)가 고객보다 갑이 되는
구조라서 돈이 급하고 금융구조를 잘 모르는 고객들 중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는
것 같습니다..
수없이 많은 신종기법들이 등장해서 가뜩이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서민들에게
피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은데요, 대표적인 사기사례와 예방법에 대해서 같이
얘기해보기로 하죠..
1. 대출사기 사례들
|
유형1) 신용보다 월등히 나은 조건을 제시하면서 위탁금 혹은 예치금 명목으로
선입금을 해달라고 하는 경우 (대부분 몇 개월 뒤 돌려주겠다고 하져)
유형2) 약속한 금액의 일부를 먼저 빌려준 후 전산비용이나 선수수료 명목으로
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( 이 경우는 빚을 다 갚을 때까지 사기인줄 모르고 당하는
경우도 많져)
유형3) 사실상 돈 빌리기 불가능한 장애인이나 기초생활 보호 수급자등 경제적으로
어려운 처지에 놓인 고객들을 대리해서 정부지원 저금리 대출을 받아준 후 고금리
이자를 받거나 원금의 일부를 가로채는 경우
유형4) 무조건 대출이 된다는 식으로 첨에 유혹했다가 갑자기 대출이 안된다고 겁을
주면서 한도 및 금리확인을 위해서 고객 개인 신상정보를 요구하는 경우
그 외에도 최근 이슈가 됐던 향후 저금리 대출전환을 약속하고 고금리로 돈을 빌리게
한 다음 몇 개월 후 잠적하거나 발뺌하는 수법도 있지요..
대부분 처음엔 문자가 스펨메일을 통해서 “무조건 가능하다” 사탕발림성 멘트로
다가온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..
2. 대출사기 예방법
<© Maxim_Kazmin - Fotolia.com/© Orlando Florin Rosu - Fotolia.com>
1) “무조건 대출가능” 스펨 메일이나 메시지는 조심하자~
2) 투철한 확인/신고정신
- 의심스럽다 싶으면 금융감독원 제도권금융기관조회를 통해서 정식대출모집인지
확인하고, 잘 모르는 대부업자는 관할행정기관(시청,도청)에 주소, 전화번호 등을 확인
해야 합니다.
- 피해발생시 바로 금융감독원 피해신고 센터 “1332”나 경찰에 신고(112)해야 합니다.
3) 수수료, 위탁금 등을 먼저 요구하는 업체는 의심해봐야 합니다.
4) 개인정보 관련 서류를 넘길 땐 해당업체, 금감원 같은데 꼼꼼한 확인작업이
선행되야 합니다.
5) 금융기관 확인 : 사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직접 금융기관을 찾아가는 것인데, 번거
롭기도 할뿐더러 견적을 내는 단계에서 직접 방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니
전화상 문의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땐 비밀번호 같은 중요한 개인정보는 얘기하지 말고
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문을 하고 거기에 대한 답변을 얻는 것이 좋습니다.
어느 정도 윤곽이 잡힌 담엔 직접 방문해서 처리해야 할테구요..^^
'대출관련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개인파산제도 (0) | 2013.06.17 |
---|---|
이해하기 쉬운 개인회생절차 가이드 (0) | 2013.06.16 |
주택/APT 담보대출 금리비교 사이트 추천 (2) | 2013.06.15 |
금감원의 2금융권 대출금리 인하발언”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시선 (0) | 2013.06.14 |
대출금리 인하에 대처하는 현명한 태도는?? (0) | 2013.06.13 |